기사 메일전송

"가상화폐 디파이는 거대한 도박…리먼 사태보다 심각"

  • 편집국
  • 등록 2022-06-30 09:23:06
  • 수정 2022-06-30 14:45:52
기사수정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현지시간) 가상화폐 대출 업무 등을 하는 현행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 시스템에 대해 거대한 도박과도 같다고 진단했다.


또 가상화폐 대부업체들이 실물 경제에 유동성을 공급하지 않고 동종 업계에만 코인을 빌려주는 폐쇄적인 방식으로 영업하고 있다며 디파이의 문제점이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 때의 유동성 사태보다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WSJ은 이날 `디파이의 실존적 문제, 오직 자신에게만 돈을 빌려준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최근 가상화폐 가격 급락으로 유동성 위기에 노출된 디파이 업계의 현실을 조명했다.



디파이 위기는 13일 코인 대출업체 셀시어스의 자산 인출 동결 사태로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어 코인 가격 폭락에 따른 유동성 경색 현상은 대출기관 블록파이와 브로커리지 업체 보이저디지털로 번졌고, 가상화폐 거래소 FTX는 최근 두 회사에 7억5천만 달러(9천731억 원) 구제 금융을 지원했다.


또 가상화폐 헤지펀드 스리애로즈 캐피털은 코인 가격 폭락에 따른 채무 불이행으로 파산 선고를 받았다. 셀시어스도 파산 신청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이런 디파이 업계의 현실에 대해 `카드로 쌓아 올린 집`이라고 꼬집으면서 "디파이가 규제를 받지 않는 `그림자 금융` 장치를 복제했다"고 지적했다.


예금 보험이나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이라는 안전장치가 없는 상황에서 디파이가 대출자의 코인을 담보로 잡고 코인을 더 빌려주는 `빚투` 거래를 조장했고 젊은 세대를 코인 투기로 끌어들였다는 것이다.


WSJ은 "전통적인 대출 기관은 궁극적으로 집, 공장과 같은 경제적 필수 자산에 자금을 대는 역할을 한다"며 기존 금융기관은 실물 경제에 필요한 유동성을 공급하기 때문에 한 기관이 망하더라도 다른 기관이 탄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디파이 영업은 실물 경제가 아니라 코인 채굴과 예치, 거래 등에서만 비롯될 수 있고, 이는 디파이에 실존적 위협"이라며 "디파이는 가상화폐 가격이 상승해야만 존속할 수 있고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도박"이라고 비판했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0
한국경제TV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